*세대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
1) 사회교환이론 : 인간은 이익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행동
- 관계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보상>비용 or 보상=비용 이어야 함
- 호혜성 : 세대간 지원교환에서 이익의 극대화보다 균형에 초점 / 주고받는 자원의 종류는 달라도 됨 / 호혜성은 지연된 형 태로 나타날 수 있다. ex 장기적 호혜성
- 이타심 : 서로에 대한 배려와 사랑이 세대간 지원 교환의 동기
- 효 규범 : 문화적 각본이 세대 간 지원 교환의 동기
- 이타심과 효 규범도 교환론적이다. 왜냐하면 이타적 동기에도 보람과 기쁨이라는 보상이 있고 효 규범과 관련해서도 유 불리한 평판으로써 보상/비용이 있기 때문이다
2) 결속도 모델 : 핵과족화로 노인이 고립된다는 주장에 반박.
- 세대관계는 생애과정에 걸쳐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.
- 세대 간 결속에는 여섯가지 차원이 있음 : 연계적 / 애정적 / 합의적 / 기능적 / 규범적 / 구조적
- 발달적 이해관계 가설 : 노부모가 성인자녀보다 세대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.
3) 양가성 모델 : 결속도 모델은 세대관계의 부정적 측면을 간과하지.
- 세대관계에는 긍정적 측면(결속/유대)과 부정적 측면(긴장/갈등)이 공존함
- 심리적 양가성 : 동일한 대상에 대해 상충되는 감정 공존
ex 나는 어머니에게 감사한 마음도 있지만 원망스럽기도 하다.
- 사회적 양가성 : 특정 역할을 수행함에 잇어 부과되는 모순적인 사회적 기대
*한국 가족 내 세대관계의 현주소
1) 구조적 특성
- 거주유형 : 3세대가구 감소, 2세대가구와 노인가구 증가
- 세대 간 거주 근접성 : '국이 식지 않는 거리'에서 거주하는 긴밀한 유대를 맺는 수정확대가족이 증가
- 세대 간 접촉 : 성인자녀가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, 도구적 지원 정도
2) 질적(기능적) 특성
- 세대간 지원 교환 : 정서적 지원, 도구적 지원, 경제적 지원
- 성인자녀로부터 용돈 받는 노인의 비율 > 제공하는 노인의 비율
*세대관계와 삶의 질
- 지원의 수혜 및 제공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= 일관적이지 않았음
1) 사회교환론적 관점
- 인간은 보상을 극대화, 비용은 최소화 하려고 하지. 그래서 지원의 수혜는 삶의 질을 높이고 지원의 제공은 삶의 질을 낮 추는 직선적 관계를 가정해. BUT 가정과 반대되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지. 왜냐고? 보상과 비용은 물질적, 경제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거든.
2) 공평이론 - 인간은 이익의 극대화보다 균형 잡힌 관계를 선호해 그래서 과다수혜를 받으면 독립성의 상실감을 경험하고 과소수혜를 받으면 적절치 못한 대접에 대해 분노하지.
*세대관계의 양계화
- 양계화 : 친족과의 상호작용이 부계와 모계 혈족을 차별하지 않고 이루어 지는 것
- 최근 30여 년 동안 친족범위는 축소되었고 전통적 부계중심성은 약화되었다.
- 형식과 의무보다는 생활의 필요에 다라 선택적으로 교류를 맺는 경향이 증가하였다.
- 요즘 한국은 양계화된 모습과 부계적인 모습이 혼재되어 있음
- 세대 간 지원 교환에서의 계보 간 비대칭성
ex 경제적 지원은 시댁에서, 도구적 지원은 친정에서?
친밀도는 모계가 더 높지만 명절에는 시댁 먼저?
남편이 부인에게 지지적일수록 양계에 균형적인 지원교환 가능성이 높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