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이론

1. 지역사회 상실이론

- 과거 전통사회의 유기적 공동체에 대한 향수

- 지역사회공동체는 복구될 수 없는 잃어버린 것, 이상적인 것

- 상실된 지역사 기능을 대체할 국가의 사회복지제도 개입이 필요하다!

 

2. 지역사회 보존이론

- 지역사회 상실이론에 대한 반론

- 도시에서도 농촌사회와 비슷한 혈연, 이웃, 친구들과 같은 사회적 지지망 있거든?

- 현대사회에서도 전통사회의 사회적 기능 보존 가능해!

- 그러니까 복지국가 역할 축소시키고 가족이나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상호부조기능을 강화하자!

 

3. 지역사회 개방이론

- 상실이론과 보존이론의 제 3대안

- 지역사회 개방= 과거 지역사회의 좁은 의미의 지역성에서 벗어나자

- 좁은 의미의 지역성에 기초한 개념에서 upgrade하여 사회적 지지망 관점에서 비공식적 연계를 하자!

- 지역성에 기초한 지리적 의미+공통의 이해와 관심에 기초한 기능적 의미 <<< 둘다 함축

 

*지역사회의 유영화 by 던햄

1. 인구 : 대도시, 중소도시, 작은 부락

2. 경제적 기반 : 광산촌, 산촌, 어촌

3. 행정기준 : 특별시, 광역시, 도, 시/군/구, 읍/면/동

4. 인구구성의 사회적 특수성 : 저소득층지역, 장애인 밀집지역, 할렘가, 차이나타운, 유대인거주지

 

 

*지역사회의 기능

- 지역주민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 보장 ex) 교육, 의료, 정치, 경제, 노동, 문화, 예술, 오락

- 생산, 분배, 소비의 기능 = 경제제도

- 사회화 기능 = 가족제도

- 사회통제 기능 = 정치제도

- 사회통합 기능(사회참여 기능) = 종교제도

- 상부상조 기능 = 사회복지제도

- 지역주민들이 상호작용(교류)하며 각 기능들을 수행, 공생적 관계를 형성한다.

 

*지역사회의 기능 측정 기준

- 지역의 자치성 : 타지역에 얼마나 의존하나?

- 서비스 영역의 일치성 : 서비스가 동일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가? (상점, 학교, 공공시설, 교회)

-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 동일시 : 지역주민들의 소속감이 어떤가?

- 수평적 유형 : 지역사회 내의 상이한 단위조직(개인, 사회조직)들이 구조적, 기능적으로 얼마나 강한 연관이 있는가?

1. 수평적 관계 : 지역사회 내 다른 조직 (학부모 협회, 지역 내 다른 초등학교, 지역 내 초등학교 담당 부서)과의 관계

2. 수직적 관계 : 다른 지역사회의 조직 (시 교육위원회, 교육과학기술부)과 관계를 맺는 것

 

 

 

*지역사회의 변화

배경 : 교통,통신의 발달 / 산업화와 도시화 촉진 / 가족관계 및 인간관계의 질적 변화

 

1. 산업화+도시화로 대가족이 해체되고 가족기능이 변화됨

>>> 가족부양기능이 약화되어 지역사회 개입 필요성 대두

 

2. 산업화로 대량생산,대량소비가 발생하여 물질적 풍요와 정서적 욕구가 표출됨

>>> 물질적으로는 풍요롭지만 정서적으로 빈곤한 상황이 발생하여 지역사회 개입 필요성 대두

 

3. 교통+통신의 발달로 전통사회가 약화되고 이익사회가 강화됨 ex. 지리적 제한 없는 동호회

 

4. 관리중심, 규모의 경제로 운영했던 생활시설들이 한계를 드러냄

>>> 탈시설화, 정상화가 되어 지역사회의 역할이 강화됨

 

5. 신자유주의로 국가의 역할이 축소되고 시장/민간의 역할이 강조됨

>>> 지역사회복지 공급주체가 다원화됨

※ 지역주민끼리 상호작용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소규모 지리적 지역사회에서 공동체가 형성될 때 사회복지사 개입이 효 과적인데...

 

6. 산업화+도시화로 지역사회의 공동체 의식 상실

>>> 주민의 적극적 참여로 지역사회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!

 

7. 세계화+국제화로 지역사회 기반 약화

>>> 지역사회 고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!

 

8. 대규모화, 익명성 등으로 형식적 인간관계 강화

>>> 인간중심의 소규모 공동체 조성 운동이 강화되어야 한다!

 

9. 지역사회의 전통과 고유의 특성 약화

>>> 도시 및 산업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를 창출 + 전통의 계승과 발전 병행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