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지역사회
- 인간은 집단활동을 하면서 사회를 형성하고
- 사회 내에서 생존을 위해 사회화 및 교육, 문화, 의료, 경제, 정치, 예술, 오락 등 집단활동을 함
- 공동생활을 통해 비슷한 사고+관습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체
- 일정한 지리적 구역에 사는 사람들의 집합체
- 일정한 공간 + 다양한 개인 + 공동생활공간
- 특정 지리적 경계 / 지역주민 상호작용 / 동질적 의식과 문화 형성
- 상호교류 / 동일한 사고 문화 공유 / 일체감 형성
- 공동체=지역사회 , 공동체 구성원=개인은 운명공동체 or 동반자적 관계임
- 지역사회는 자연발생적 집단으로 = 공동체
- 지역사회 = 지역성 + 공통 이해관계 특성의 집합체
*공동체
- 공동의 목적 속에 결속된 한정된 집단
- 공동의 목적은 동일한 가치와 신념을 토대로 형성된다
- 공동체는 소속감(개인과 공동체 동일시)과 정체성을 강조
- 사회통합을 강조하는 지역사회복지의 목표!
- 긴밀한 정서적 유대, 상호 연대에 의해 생활하는 기초 집단
- 공동의 관심과 이해관계 / 공동이익추구
- 개인은 공동체의 가치, 문화, 제도 등을 통하여 자신의 역할과 의미 찾음
- 공동체적 삶의 방식 = 자율, 자치, 순환적 상호작용
- 공동체 파괴 방식 = 경쟁, 소외, 억압, 착취, 지배구조
- 공동체 없인 개인의 삶의 질 down
- 사회통합 / 탈시설화 / 정상화 / 주민참여 중요
※사회복지에서는 지역사회=공동체라고 본다.
*지역사회의 특성
- 규모와 성격이 다양하다
- 주거와 생계를 위한 공간적 요소가 존재해서 -> 지역적 특수성과 지속성이 형성되고, 유지됨
- 지역주민끼리 다양한 상호작용과 활동을 통해 공생적 관계 = 기능적 요소
- 공통의 가치, 소속감, 연대의식, 동질감 = 심리적, 정서적 요소
- 위와 같은 특성을 중심으로 모든 지역사회는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한다 (ex.영화 황산벌)
*지역사회의 구분
1. 지리적 지역사회 : 지역적 경계, 지역주민 상호작용, 동질적 사고와 문화 = 3박자를 갖춘 지역사회
ex) 자연부락, 읍면동 행정구역, 아파트단지
2. 기능적 지역사회 : 지리적 경계가 불분명한 지역사회
ex) 학교, 회사, 병원, 동호회 등 특수목적을 가짐
- 최근에는 교통, 통신 등의 발달로 지리적 지역사회는 down 기능적 지역사회가 up되는 추세
*지역사회의 구성요소
1. 지리적 경계 :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적 경계 / 공간 / 물리적 환경 / 지역사회의 기본적 조건
2. 사회적 상호작용 :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과정 / 교류, 사회적 관계, 공생적 관계
3. 공통의식과 가치 : 지역사회만의 독특한 문화와 가치로 소속감, 일체감을 형성한다.
but 반대로 타지역사회에 대하여 배타적인 성향 가질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