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자료수집이란?

-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파악하고 앞으로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 필요한 자료들을 클라이언트 본인과 주변 사람으로부터 모으는 과정. 이때의 궁극적인 목적은 '어떻게 개입할 것인가?' 라는 설정이다.

- 자료수집은 이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대부분 사회복지실천 전 과정에서 계속해서 진행된다.

 

*자료수집의 내용

-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정보

- 문제에 대한 정보

- 개인력 : 인간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및 주요사건 등 파악

- 가족력

- 클라이언트의 기능 : 클라이언트의 지적, 정서적, 신체적, 사회적 기능 수준 파악

- 클라이언트의 자원 : 클라이언트가 이미 가지고 있는 서비스와 현재 활용 가능한 자원들이 있는가?

- 클라이언트의 강점 및 한계 : 클라이언트의 강점이 있을 수 있다. 예를 들어 도움을 요청한사실 자체만으로도 강점이 될 수 있겠지?

- 클라이언트의 환경 : 클라이언트 주위의 사회적 관계망, 사회제도 및 서비스의 수혜경험, 차별 및 소외경험 등의 자료수집

 

*자료출처

- 특정 자료수집 방법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가지를 함께 사용하는것이 좋다.

-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사정해라.

*예시

1. 클라이언트가 직접 작성한 서식 (기관의 접수양식)

2. 클라이언트의 자기보고

: 언어적 보고 = 말한 것

자기관찰 보고 = 자신의 문제와 관련된 감정, 행동, 생각 등을 일지에 기록한 것으로 자신 스스로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음.

3.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행동 관찰

: 비언어적 행동에서 분노, 상처, 불안, 두려움과 같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상태와 반응 및 스트레스 수준을 알 수 있다.

4. 주변 사람 및 가정방문을 통한 관찰.

: 클라이언트가 가족이나 친척, 친구 등 타인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 정보를 얻음. 그리고 가정방문에서 얻은 정보는 관찰자 지각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출처에서 얻은 다양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가 필요하다.

5. 이차적 출처로부터의 정보

: 클라이언트 주변의 인간관계 사람들에게 이차적으로 접촉하여 정보를 수집한다. 이때는 자료수집 동의가 필요하며, 정보제공자와 클라이언트간의 정서적 유대관계가 그 정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고려한다.

6. 사정도구 및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결과.

: 전문가가 시행한 검사결과를 활용한다. but 검사결과는 클라이언트를 이해하는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지 맹신하지 않는다. = 좋은자세

7. 클라이언트와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복지사 본인의 경험

: 사회복지사가 직접 상호작용하면서 이친구는 어떤 친구구나~하고 직접 파악함.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